[대선상황실] 후보들의 마지막 유세지, 장소속 숨은 의미는?<br /><br />이제 오늘 밤 12시면 공식 선거운동이 모두 끝납니다.<br /><br />날짜론 22일, 시간으론 528시간에 걸친 대장정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유세에 후보들은 모든 걸 쏟아붓고 결과를 기다리게 됩니다.<br /><br />후보들, 대미를 장식할 장소로 어딜 골랐을까요?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저녁 7시 광화문 청계광장으로 향합니다.<br /><br />청계광장은 2016년 10월 29일 박근혜 전 대통령 하야를 촉구하며 촛불집회가 가장 먼저 불타오른 곳입니다.<br /><br />당시 성남시장이던 이 후보는 1차 촛불집회부터 적극 참여했습니다.<br /><br />탄핵 정국이 전국구 정치인으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된 겁니다.<br /><br />이 후보는 청계광장에서 '역사를 과거로 되돌리면 안 된다'는 점을 강조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 "역사를 후퇴시키려는 세력에 맞서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그 책임이 우리에게 있습니다. 그것이 바로 지금의 시대정신입니다."<br /><br />그런데 청계광장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선거운동의 시작을 알린 출정식 장소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부패하고 무능한 민주당 정권을 반드시 심판하자며 정권교체 의지를 다졌는데요,<br /><br />두 후보가 선거운동의 시작과 끝, 같은 장소에 다른 의미를 담았습니다.<br /><br />윤석열 후보는 마지막 유세 장소로 서울시청 광장을 택했습니다.<br /><br />이곳은 서울의 중심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있고, 공간이 넓어 많은 사람이 모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 유세 동선을 소개하며 국민의힘은 '정권교체 대장정', '한 정치신인의 기적같은 드라마'라는 표현을 썼습니다.<br /><br /> "저는 여의도의 문법도 여의도의 셈법도 모르는 사람입니다. 국민 여러분께서 불러세워 앉혀주셨습니다. 누구에게도 빚진 게 없고 어떠한 패거리도 없습니다. 여러분!"<br /><br />윤 후보는 서울광장에서 "공정과 상식을 무너뜨리고, 자유와 법치를 부정하는 세력을 교체하겠다"고 강조하며 정권교체 바람을 정점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시청광장은 청계광장과 불과 400m 거리입니다.<br /><br />보시면 후보 연설이 겹치진 않지만 한 시간가량 동시에 유세가 벌어지는데요, 몰려든 지지자들로 광화문 일대가 들썩들썩할 걸로 보입니다. '광화문 대전'입니다.<br /><br />민주당에선 이낙연 전 대표, 정세균 전 총리, 김동연 대표가, 국민의힘에선 홍준표 의원, 유승민 전 의원과 안철수 대표가 참여해 힘을 보탭니다. '원팀' 메시지를 강조하기 위해섭니다.<br /><br />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서울 홍대에서 마지막 유세를 합니다.<br /><br />심 후보는 '2030 프라이드 유세'라는 제목을 붙인 유세를 이어가며 청년·여성에 누구보다 공을 들였습니다.<br /><br /> "정의당이 말하는 페미니즘이 뭐냐? 모든 성은 동등하다는 거예요. 남성이든 여성이든 성소수자든 있는 그대로 존중받고 자신의 개성과 잠재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성 평등국가…뭐가 잘못됐습니까?"<br /><br />마지막 유세는 역시 이번 대선의 최대 승부처인 서울에서 마무리하는데요, 고려대·한양대·이화여대·연세대 등 대학가를 거쳐 홍대로 향합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유세 끝나는 걸까요? 아닙니다.<br /><br />공직선거법상 유세차를 활용한 대형 유세는 밤 9시까지 가능하고, 이후 밤 11시까지는 무선마이크를 쓸 수 있습니다. 자정까진 '생목' 연설을 하면 됩니다.<br /><br />이재명 후보는 홍대 쪽으로 이동해 청년들과 만나고, 윤석열 후보는 건대 앞을 지나 청년들이 많이 모이는 강남역으로 갑니다.<br /><br />심상정 후보는 홍대·연남동 일대를 구석구석 돕니다.<br /><br />끝까지 한 표를 호소해야 할 이번 대선의 캐스팅보트, 2030인 게 뚜렷이 드러납니다.<br /><br />양강 후보는 그간 '데칼코마니' 같다는 평가를 많이 받았습니다.<br /><br />정책 공약은 점차 하나로 수렴했고, 배우자 리스크가 팽팽했습니다. 녹취록이 또 다른 녹취록을 덮었습니다.<br /><br />막판 동선도 겹칩니다.<br /><br />이재명 후보는 어제 제주에서 출발해 부산, 대구, 대전, 청주로 경부선 라인 유세를 한 뒤 오늘 수도권에 집중했습니다.<br /><br />윤석열 후보는 어제 수도권 유세를 한 뒤 오늘 제주에서 출발해 부산, 대구, 대전을 거쳐 서울로 오는 경부선 유세를 택했습니다.<br /><br />5년 전 마지막 유세는 어땠을까요?<br /><br />당시 문재인 후보는 촛불의 상징인 광화문광장, 홍준표 후보는 태극기집회가 열렸던 덕수궁 대한문, 안철수 후보는 '걸어서 120시간' 유세를 대전에서 마무리했습니다. 유승민, 심상정 후보는 각각 서울 명동과 신촌을 택했고요.<br /><br />5년 전 광화문과 대한문보다 양강 후보 간 거리는 살짝 가까워졌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진영·젠더·세대 등 우리 사회의 여러 갈등은 더 극심해졌다는 것, 대선 과정에서 보실 수 있으셨을 겁니다.<br /><br />누가 당선되든, 양강 후보가 동시에 '국민통합'을 얘기했다는 데 기대를 걸어봅니다.<br /><br /> "국민통합 반드시 완수하겠습니다. 이재명 정부라는 표현은 국민통합 정부보다 앞설 수 없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."<br /><br /> "우리 당의 가치와 목표의 외연을 더 넓히고 더 많은 국민들의 의견을 소중히 받들어 국민통합을 이뤄내겠습니다."<br /><br />대선 D-114일 출발한 대선상황실도 오늘이 마지막입니다.<br /><br />좀 더 발전한 모습으로 다음 대선 때 찾아뵙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대선상황실이었습니다.<br /><br />#이재명 #윤석열 #심상정 #광화문_대전 #마지막_선거운동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